목록캠핑카 (11)
타박타박 아홉걸음
유럽에서 장기간 캠핑카 여행을 할 때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나는 다른 무엇보다 인터넷 사용이라고 생각한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우리 삶의 모든 부분이 달라졌으니 여행하는 방법 또한 완전히 달라졌다. 그리고 코로나19를 겪은 전 세계는 ‘비대면 온라인’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이번 5주 간의 여행 동안 우리 가족은 현금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유로화와 달러화를 조금씩 준비해 갔으나 여행을 마치고 돌아오는 순간까지 현금은 그대로였다. 캠핑장에서도 No Cash가 보편적이었고, 중요한 결제는 대부분 온라인에서 이루어졌다. 유로화를 사용하지 않는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에서도 환전이 필요한 순간도, 환전할 기회도 없었다. 여행 계획을 세우면서 노르웨이에 ..
사람들은 설레기 위해 연애를 한다고 알랭 드 보통(Alain de Botton)은 말했다. 연애를 못 하는 사람 또는 하면 안 되는 사람들은 설레기 위해 여행을 한다고 나는 말했다. 연애를 못 하는 전자는 나와 고래이고, 연애를 하면 안 되는 후자는 부모님과 동생 내외이다. 그러니까 우리는 함께 여행을 하는 것이다. 나 자신에게 설렘이라는 감정을 선물하기 위해서다. “우와~ 이런 건 처음이야.”캠핑카가 커다란 페리에 실렸다. 막상 해보면 어려운 일은 하나도 없다. 다른 사람들도 다 하는 거니까. 그래도 처음은 언제나 두렵고, 그 두려움에 비례하여 설레는 마음도 커진다. 캠핑카에서 자는 것도 처음이지만, 페리에서 잠을 자는 것도 다들 처음이었다. 주차를 마친 후 16시간의 항해 동안 필요한 것들을 챙겨서 ..
“준비 완료, 출발합시다!”Waze 내비게이션 앱이 경쾌하게 외쳤다. 지난 한 달 동안 약 1만km를 직접 운전하고 다니면서 안전하게 여행을 마무리할 수 있었던 건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힘이 컸다.이 세상 모든 분야가 다 그렇겠지만, 여행도 스마트폰 등장 이전과 이후의 모습이 크게 바뀌었다. 이십 대 초반에 혼자 인도를 여행할 때는 스마트폰이 없었다. 그때는 지도책을 보고 다녔고, 가이드북을 경전처럼 모시고 다녔다. 모든 게 정확하지 않았고, 확실한 건 없었기에 골목 하나를 돌 때마다 사람들에게 물어야 했다. 물론 음성 언어로 소통이 가능한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그리고 낯선 여행지에서 여행자들은 언제나 크고 작은 사기를 당했고, 여행자들이 만나면 그것은 곧 무용담이 되었다. 그때 나의 경전이었던 를 쓴 ..
야야야~ 내 나이가 어때서사랑에 나이가 있나요‘내 나이가 어때서’ 노랫말 中그렇다. 사랑에도 나이가 없고, 여행에도 나이가 없다. 5살 손녀도 여행을 하고, 68살 할아버지와 65살 할머니도 여행을 한다. 손녀는 유모차를 타고, 할아버지는 휠체어를 타고 여행을 한다. 캠핑카에 3대가 함께 올라타는 오늘은 여행의 첫날이기도 하지만 한국, 독일, 베트남에 흩어져 살던 우리 가족이 오랜만에 다시 만나는 날이기도 하다.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비행기에 자식보다 소중한 전동 휠체어와 한 달 동안 먹을 김치를 싣고 인천에서 프랑크푸르트로 열심히 날아오는 중이다.“엄마 평생의 소원이 북유럽 캠핑카 여행이야.”아주 옛날부터 엄마가 가졌던 소원이었다. ‘북유럽’과 ‘캠핑카’는 1950년대에 한국에서 태어나 평생 고된 노동으..
오늘은 독일 소도시 워킹투어의 마지막 날이다. 내일이면 부모님이 프랑크푸르트 공항에 도착하고, 동생은 여름 휴가를 받아서 드디어 3대가 함께 캠핑카에 올라탄다. 고래양의 유치원은 이미 오래 전에 여름방학을 시작했다. 한가로운 나만의 아트 투어도 오늘이 마지막이다. 라이프치히와 드레스덴에 이어 마지막으로 선택한 소도시는 바로 데사우(Dessau)다. 데사우는 독일 바우하우스(Bauhaus) 운동이 전성기를 맞았던 곳이다. 고전미술에서는 예술의 변방에 머물렀던 독일이 바우하우스의 등장으로 모더니즘 예술의 정점에 올라섰다. 특히 산업 디자인과 현대 건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니, 지금도 바우하우스 정신을 목표로 삼고 좇아 가고 있다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이다. 바우하우스를 모르더라도 이케아, 무인양품..
캠핑카를 타고 아름다운 풍경을 벗삼아 하루에 1,000km 이상 달려도 피곤한 줄을 모른다. '우와, 우와, 진짜 멋있다'를 몇 번 하다보면 어느새 다음 목적지에 도착한다. 그런데 덩치가 큰 캠핑카를 몰고 도심을 벗삼아 트램과 함께 달린다면 여행 장르는 호러물로 바뀐다.유럽에서 자동차를 타고 다니면 어느 도시나 트램을 마주하게 된다. 내가 트램을 뒤따르기도 하고, 트램이 나를 뒤쫓기도 한다. 한국 사람들은 트램을 기차나 지하철 정도로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버스에 더 가깝다. 그러니 트램이 내 앞이나 뒤에 있으면 긴 버스가 옆에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실제로 노르웨이 트론헤임에서는 24m 길이의 트램 같은 버스가 운행 중이었다. 자동차가 보는 신호와 트램이 보는 신호가 다르긴 하지만 그 차이를 분명하게 구분..
유럽 사람들은 자전거를 정말 사랑한다. 자전거가 없었으면 이들은 어떻게 이동을 하고, 어떻게 여가를 보냈을까 싶다. 조카 고래가 다니는 라이프치히 유치원에서도 일주일에 한 번씩 자전거 타는 날을 정해놓고 있었다. 한국에서도 5살이면 두 발 자전거를 타고 다니나? 나는 초등학생이 된 후에도 작은 보조 바퀴가 달린 자전거를 탔던 것 같은데 독일 아이들은 너댓 살 정도면 두발 자전거를 타고 아빠와 함께 공원을 달린다. 도로 위에는 자전거를 위한 레드카펫까지 깔려 있는데 자전거를 마다할 사람이 누가 있을까?나도 라이프치히 미술관(Museum der bildenden Künste Leipzig)으로 가려고 오랜만에 자전거에 올라 탄다. 뒷자리에 고래용 시트도 달려 있으니 누가 보면 동네 주민인 줄 알겠지? 힘차게..
나는 대체로 유지비가 적게 드는 인간이다. 특히 여행할 때는 더 그렇다. 두 달 동안 뉴욕을 여행했을 때 하루 숙박비를 제외한 하루 경비는 약 7~8달러 정도였다. 낯선 도시에 도착하면 나는 주로 걷는다. 꼭 필요한 때가 아니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도 드물다. 속도가 빨라지면 보이는 것도 적고, 잊히는 것도 많아지기에 여행이란 모름지기 튼튼한 두 발로 걷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동행하기에 좋은 인간은 못 된다. 하지만 나에게도 요란한 사치가 하나 있는데, 그건 커피다. 커피는 간식도 되고, 식사 대용도 되고, 내가 앉은 공간을 카페로 만들어 주는 마법 같은 녀석이다. 지금 이 글을 쓰는 곳은 라이프치히의 시립도서관이다. 어느 도시든 도서관은 있다. 걷고 또 걷다가 틈틈이 도서관을 찾는다. 화..
여행을 떠나는 이유가 뭘까? 20년 전 대학생일 때 처음 배낭여행을 떠났다. 그때의 목적지는 인도였다. 인도를 선택한 이유는 두 가지였다. 여행 경비가 가장 적게 들었고, 인도 관광청이 외치는 Incredible India라는 말이 왠지 멋지다고 생각했다. 왜 하필 인도냐고 굳이 물어보는 사람들에게는 공중부양 배우러 간다고 농쳤다.그 후로도 참 많은 곳을 다녔다. 여행을 떠나는 이유가 뭘까? 나는 이제 20대 청년이 아닌 40대 중반의 노총각인데, 그때나 지금이나 여행이라는 행위는 똑같이 반복하고 있다. 40대에 들어선 후 내가 찾은 여행의 이유는 나의 일상을 찬미하기 위함이다. 긴 여행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 후 진토닉을 진하게 말아서 한 잔 마신 후 “역시 집이 최고야” 같은 상투적인 말들을 뇌까리기..
‘북유럽 캠핑카 여행’이라는 단어가 주는 생경함은 그 자체로 설레는 말이지만, 그걸 직접 한다고 생각하면 막막함이 앞선다. 하지만 세상만사가 그렇듯 처음만 힘들지 막상 해보면 어려운 일이 없다. 015B의 노래 중에도 있다. 요조(Yozo)가 부른 를 흥얼거리며 어떤 준비들이 필요한지 정리해보자.첫 번째 할 일은 당연히 캠핑카 예약이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유럽인들도 7월부터 8월까지가 여름휴가 시즌이다. 유럽이나 미국의 학교들이 보통 6월 말부터 여름방학을 시작해 8월 중순까지 긴 휴식기를 가진 다음 가을부터 새 학년을 시작하기 때문에 여름 성수기도 이때와 같다. 유럽에서 캠핑카 여행은 매우 보편적이기 때문에 여름휴가 시즌에 캠핑카 수요가 몰린다. 그래서 적어도 서너 달 전에는 예약을 하는 것이 좋다.만..